2012년 8월 전국 항만 물동량 전년동기 대비 7.2% 감소 2012년 8월 전국 항만 물동량 전년동기 대비 7.2% 감소
정요희 2012-09-28 00:00:00

- 8월 ‘컨’ 물동량, 3.2% 감소한 1,744천TEU 전망

 

 

국토해양부(장관 : 권도엽)에 따르면, 2012년 8월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물동량은 총 9,947만 톤으로 전년 동기(1억 717만 톤) 대비 7.2% 감소했다고 밝혔다.

글로벌금융위기로 인한 물동량 감소 추세를 극복(2009년 10월)한 이후 월간 항만 물동량이 감소된 것은 34개월 만에 처음으로, 유럽재정위기에 따른 글로벌 경기침체와 최근 중국의 경제 성장률 둔화 등으로 인한 수출입물량 감소가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한편, 2012년 8월까지 누적 항만물동량은 총 8억 8,104만 톤으로 전년동기(8억 6,458만 톤) 대비 1.9% 증가하였다.

국토해양부(장관 : 권도엽)에 따르면, 2012년 8월 전국 무역항에서 처리한 항만물동량은 총 9,947만 톤으로 전년 동기(1억 717만 톤) 대비 7.2% 감소했다고 밝혔다.

글로벌금융위기로 인한 물동량 감소 추세를 극복(2009년 10월)한 이후 월간 항만 물동량이 감소된 것은 34개월 만에 처음으로,

유럽재정위기에 따른 글로벌 경기침체와 최근 중국의 경제 성장률 둔화 등으로 인한 수출입물량 감소가 주된 원인으로 분석된다.

한편, 2012년 8월까지 누적 항만물동량은 총 8억 8,104만 톤으로 전년동기(8억 6,458만 톤) 대비 1.9% 증가하였다.

품목별로도 기계류 및 화공품은 수출입 물량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9.6%, 0.7% 증가한 반면, 다른 품목은 대부분이 전년 동기 대비 감소세를 보였다.

한편, 국토해양부는 전국 항만의 8월 컨테이너 물동량이 지난해 같은 달(1,801천TEU)에 비해 3.2%(8월까지 누계 4.4% 증가) 감소한 174만 4천TEU*를 처리했다고 밝혔다.

컨테이너 총 물동량은 ‘09.10월 이후 34개월 만에 처음으로 월별 물동량 증가율이 감소세로 전환되었으며, 환적화물은 ’10.10월 이후 22개월 만에 감소세로 전환한 것이다.

* 수출입화물 1,060천(1.8%↓), 환적화물 663천(3.1%↓), 연안화물 21천TEU(44.5%↓)

이 같은 물동량 감소는 세계경제 침체의 영향으로 대내외 경기가 위축되고 있는 가운데, 8월말 한반도를 강타한 태풍 볼라벤의 영향으로 전국 항만이 약 2일간 입출항이 통제되면서, 항만운영 및 하역작업 중단 등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 2일간 입출항 통제 및 하역작업 중단에 따른 물량은 약 10~12만TEU로 추정

수출입화물(1,060천TEU)은 중국경제의 위축, 내수부진 등으로 수출입 실적*이 저하된 가운데, 전년 동월(1,060천TEU) 대비 소폭 하락(18천TEU↓, 1.8%↓) 하였다.

* 한국 경제의 성장을 이끌었던 수출은 8월에 전년동기 대비 6.2% 감소하였으며 수입도 9.8% 감소해 부진한 내수 경기를 반영(지식경제부, ‘12.9)

특히, 환적화물(663천TEU)은 글로벌 경기침체와 북중국 환적화물 감소 등 복합적인 요인에 따라 증가세는 다소 둔화되어 지난 해 8월(684천TEU) 대비 3.1% 감소한 것으로 잠정 집계되었다.

부산항은 지난 해 같은 달보다 2.5% 감소한 133만 4천TEU를, 환적화물*은 63만 7천TEU(2.7%↓)를 기록하였으며, 그 중 부산항 환적화물의 증가세가 둔화된 것은 글로벌 경기침체와 부산항을 거쳐 미주·구주로 수출입되던 북중국항만의 환적대상 물량 감소 등 복합적인 요인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 부산항 환적 물동량은 전년 동월 대비 증가율은 감소를 기록하였지만 ‘11년 월 평균(613천TEU)대비 3.9% 증가한 수준임

광양항은 1.3% 감소하였고, 중국의 석유화학제품의 재고 소진에 따른 對 중국 수출 증가 등에 힘입어 수출입화물은 1.7% 증가한 반면, 환적화물의 감소(5.5%↓)에 기인한다.

인천항은 對 중국 교역량 감소로 전년 동월대비 6.0% 감소한 15만 1천TEU를 처리하였다.

한편, 세계 10대항만은 전년 동기대비(12,421만TEU) 3.7% 증가한 1억2,845만TEU를 처리하였다.

부산항은 세계 경기 침체 기조 속에서도 증가율(6.0%)을 기록하며 5위 유지를 유지하였으며, 닝보-저우산항은 8.8% 증가한 1,080만TEU를 처리하며 6위 차지하였다.

환적 비중이 높은 싱가폴항(6.6%, 2,116만TEU)과 홍콩항(△3.7%, 1,563만TEU)은 2위, 3위를 기록하였으나 홍콩항은 10대 항만 중 유일하게 전년 동기 대비 감소세를 보였다.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
관련협회 및 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