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신항 건설과 관련, 추진 중인 인입철도건설사업이 올해 하반기에 착공된다.
울산시에 따르면 한국철도시설공단은 2월 13일(수) 오후 2시 남구 선암동 주민센터에서 신항 인입철도건설사업 전략환경영향평가서(초안) 주민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연내 착공을 위한 관련 절차를 진행한다.
기본 및 실시설계를 지난해 말 완료됐다.
울산 신항 인입철도 건설사업은 총 사업비 1,883억 원이 투입되어 울산차량기지 ~ 신항 북항간 연장 9.3㎞ 구간을 오는 2016년까지 단선철도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동해남부선 차량기지 인근에 설치될 망양역에서 신산업단지를 거쳐 용연 신항 북항에 이르는 철도가 개설돼 항만물류 및 울산자유무역지역 내 산업물량을 처리하게 된다.
이 사업은 향후 신항만 개발과 연계하여 울산항을 통해 들어오는 물류의 수송에 있어서 육로에서 철도로의 전환이 가능해 울산 신항의 경쟁력이 더욱 향상될 전망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신항 및 울산자유무역지역 내 산업물량을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반시설”이라며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행정력 지원은 물론, 관련 국비 확보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울산시에 따르면 한국철도시설공단은 2월 13일(수) 오후 2시 남구 선암동 주민센터에서 신항 인입철도건설사업 전략환경영향평가서(초안) 주민 설명회를 개최하는 등 연내 착공을 위한 관련 절차를 진행한다.
기본 및 실시설계를 지난해 말 완료됐다.
울산 신항 인입철도 건설사업은 총 사업비 1,883억 원이 투입되어 울산차량기지 ~ 신항 북항간 연장 9.3㎞ 구간을 오는 2016년까지 단선철도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동해남부선 차량기지 인근에 설치될 망양역에서 신산업단지를 거쳐 용연 신항 북항에 이르는 철도가 개설돼 항만물류 및 울산자유무역지역 내 산업물량을 처리하게 된다.
이 사업은 향후 신항만 개발과 연계하여 울산항을 통해 들어오는 물류의 수송에 있어서 육로에서 철도로의 전환이 가능해 울산 신항의 경쟁력이 더욱 향상될 전망이다.
울산시 관계자는 “신항 및 울산자유무역지역 내 산업물량을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기반시설”이라며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되도록 행정력 지원은 물론, 관련 국비 확보에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