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해운업체의 과반이 지난해 영업이익이 대폭 줄어든 것으로 드러났다. 또, 해운업체 상당수가 유동성 위기 상태에 놓인 것으로 나타나 대출원리금 상환, 정부의 선박매입 등 유동성 확보를 위한 정부의 긴급지원이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21일 국내 해운업체 99개사의 지난해 공시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대비 감소한 기업이 55개사였고, 평균 감소폭은 146%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세계경기 불황으로 매출액은 감소한 반면, 매출원가와 판매관리비는 증가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 영업이익이 줄어든 업체들의 지난해 평균매출액은 전년대비 5.6% 줄었으나 매출원가와 판매관리비는 각각 0.1%, 6.8%씩 증가했다.
대한상의는 “해운물동량 급감, 운임 하락, 유가·원자재 등 운영원가의 상승 등으로 경영난에 빠진 해운업체들이 많다”며 “경기불황과 함께 원금상환시기 도래, 이자비용 등 부채에 대한 부담이 커져 자금유동성 확보에도 비상등이 켜진 실정”이라고 분석했다.
해운업체 99개사의 유동비율을 살펴보면, 전체기업의 75.8%가 100% 미만을 기록했고, 56.6%는 지난해 유동비율이 전년대비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단기 채무상환능력을 보여주는 유동비율은 유동자산(1년 이내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을 유동부채(1년 이내 갚아야 하는 부채)로 나눈 비율로 보통 150∼200%는 돼야 건전한 것으로 보며 100% 이하면 급격한 유동성 압박을 받을 수 있다.
이같은 해운업 경기불황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대한상의가 최근 국내 해운업체 175개사를 대상으로 긴급설문한 결과, 최근 경영상황에 대해 ‘좋지 않다’라는 답변이 63.4%로 ‘보통이다’(31.4%)이라는 응답과, ‘좋다’(5.2%)라는 답변을 크게 앞섰다.
해운경기 회복시점을 묻는 질문에도 ‘내후년에나 좋아질 것’이라는 기업이 44.0%, ‘내년 하반기’를 꼽은 기업이 28.6%로 부정적인 의견이 대다수인 가운데, ‘올해 안에 회복될 것’이라는 응답은 3.5%에 그쳤다. <‘내년 상반기’ 14.3%, ‘기타’ 9.6%>
더 큰 문제는 해운업 경기가 올해 안에 회복되지 않을 경우 30%에 가까운 기업들이 경영 한계상황에 직면할 것이란 점이다. 최근 해운경영환경 악화에 대비할 여력이 있는지를 묻자 ‘이미 한계상황’이라는 답변이 9.7%였고, ‘올 상반기가 한계’라거나 ‘올 하반기가 한계’라는 답변이 각각 5.7%, 13.1%에 이르렀다. <‘한계상황 아님’ 24.6%, ‘내년 이후’ 10.3%>
최근 경영애로요인으로 응답기업들은 ‘경기둔화로 인한 물동량 감소 및 매출부진’(68.0%), ‘유가 등 운영원가 상승’(41.7%), ‘자금유동성 확보’(35.4%)를 차례로 꼽았다. <‘운임하락’ 25.1%, ‘원리금 상환시점 도래’ 8.0%, ‘선가 및 담보가치 하락’ 4.6%, ‘선원 등 인력난’ 1.7%, 복수응답>
해운업 위기극복을 위해 가장 시급한 정부정책과제로는 ‘원리금 상환, LTV 적용기간 유예’(49.1%)를 첫 손에 꼽았고, 이어 ‘정부의 선박매입, 대출상환 보증 등 유동성 확보를 위한 지원’(35.4%), ‘선사 공기업, 조선소, 금융기관이 공동 참여하는 합작선사 설립’(11.4%), ‘전문인력 양성 지원’(1.7%), ‘선사간 M&A 지원 등을 통해 대형화 유도’(1.1%) 등을 제시했다. <‘기타’ 1.3%>
김경종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해운업계는 지난 몇 년간 계속되어 온 글로벌 경기침체와 매출원가 상승 등으로 수익성 저하와 함께 유동성이 악화되는 등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며 “해운업체가 유동성을 보강하여 선박노후화에 대비하고, 서비스 경쟁력 확보를 위한 투자재원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정부가 원리금 상환과 LTV 적용기간 유예 등의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21일 국내 해운업체 99개사의 지난해 공시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대비 감소한 기업이 55개사였고, 평균 감소폭은 146%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세계경기 불황으로 매출액은 감소한 반면, 매출원가와 판매관리비는 증가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실제, 영업이익이 줄어든 업체들의 지난해 평균매출액은 전년대비 5.6% 줄었으나 매출원가와 판매관리비는 각각 0.1%, 6.8%씩 증가했다.
대한상의는 “해운물동량 급감, 운임 하락, 유가·원자재 등 운영원가의 상승 등으로 경영난에 빠진 해운업체들이 많다”며 “경기불황과 함께 원금상환시기 도래, 이자비용 등 부채에 대한 부담이 커져 자금유동성 확보에도 비상등이 켜진 실정”이라고 분석했다.
해운업체 99개사의 유동비율을 살펴보면, 전체기업의 75.8%가 100% 미만을 기록했고, 56.6%는 지난해 유동비율이 전년대비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단기 채무상환능력을 보여주는 유동비율은 유동자산(1년 이내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을 유동부채(1년 이내 갚아야 하는 부채)로 나눈 비율로 보통 150∼200%는 돼야 건전한 것으로 보며 100% 이하면 급격한 유동성 압박을 받을 수 있다.
이같은 해운업 경기불황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대한상의가 최근 국내 해운업체 175개사를 대상으로 긴급설문한 결과, 최근 경영상황에 대해 ‘좋지 않다’라는 답변이 63.4%로 ‘보통이다’(31.4%)이라는 응답과, ‘좋다’(5.2%)라는 답변을 크게 앞섰다.
해운경기 회복시점을 묻는 질문에도 ‘내후년에나 좋아질 것’이라는 기업이 44.0%, ‘내년 하반기’를 꼽은 기업이 28.6%로 부정적인 의견이 대다수인 가운데, ‘올해 안에 회복될 것’이라는 응답은 3.5%에 그쳤다. <‘내년 상반기’ 14.3%, ‘기타’ 9.6%>
더 큰 문제는 해운업 경기가 올해 안에 회복되지 않을 경우 30%에 가까운 기업들이 경영 한계상황에 직면할 것이란 점이다. 최근 해운경영환경 악화에 대비할 여력이 있는지를 묻자 ‘이미 한계상황’이라는 답변이 9.7%였고, ‘올 상반기가 한계’라거나 ‘올 하반기가 한계’라는 답변이 각각 5.7%, 13.1%에 이르렀다. <‘한계상황 아님’ 24.6%, ‘내년 이후’ 10.3%>
최근 경영애로요인으로 응답기업들은 ‘경기둔화로 인한 물동량 감소 및 매출부진’(68.0%), ‘유가 등 운영원가 상승’(41.7%), ‘자금유동성 확보’(35.4%)를 차례로 꼽았다. <‘운임하락’ 25.1%, ‘원리금 상환시점 도래’ 8.0%, ‘선가 및 담보가치 하락’ 4.6%, ‘선원 등 인력난’ 1.7%, 복수응답>
해운업 위기극복을 위해 가장 시급한 정부정책과제로는 ‘원리금 상환, LTV 적용기간 유예’(49.1%)를 첫 손에 꼽았고, 이어 ‘정부의 선박매입, 대출상환 보증 등 유동성 확보를 위한 지원’(35.4%), ‘선사 공기업, 조선소, 금융기관이 공동 참여하는 합작선사 설립’(11.4%), ‘전문인력 양성 지원’(1.7%), ‘선사간 M&A 지원 등을 통해 대형화 유도’(1.1%) 등을 제시했다. <‘기타’ 1.3%>
김경종 대한상의 유통물류진흥원장은 “해운업계는 지난 몇 년간 계속되어 온 글로벌 경기침체와 매출원가 상승 등으로 수익성 저하와 함께 유동성이 악화되는 등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며 “해운업체가 유동성을 보강하여 선박노후화에 대비하고, 서비스 경쟁력 확보를 위한 투자재원을 마련할 수 있도록 정부가 원리금 상환과 LTV 적용기간 유예 등의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