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지=뉴스와이어) 광주광역시(시장 강운태)가 시민의 교통 불편해소와 지역 경쟁력 강화를 위해 광역 도로망을 대폭 확충·개선한다.
광주시는 고속도로 신설·확장, 교통혼잡 구간 개선, 광역도로 건설, 산업단지 지원도로 개설, 위험도로 구조개선 등을 통해 물류비용 절감과 시민 불편해소, 교통사고 예방, 지역균형발전을 꾀한다.
우선 광역 고속도로망을 구축해 교통량을 분산한다. 호남고속도로 상습 지·정체 구간인 동광주~광산IC간 11㎞의 노선을 4차선에서 6~8차선으로 확장하기 위해 올해 기본설계를 추진한다.
광주·전남 남북 방면 접근성 향상과 지역개발 촉진을 위해 광주~완도간 고속도로 89.3㎞를 2020년까지 개설할 계획으로 실시설계를 한다. 광주 인근 4개 시·군을 잇는 광주순환고속도로 2구간인 본량~진원 간 16.15㎞ 중 10.3㎞에 대해서는 올해 실시설계를 마무리하고 공사를 착공할 계획이다.
교통체증이 심한 도심 내 혼잡도로도 집중적으로 개선한다. 국도 13호선 기능상실로 인한 혼잡 해소와 어등산 관광단지 진입도로를 확보하기 위해 하남산단 외곽도로 5.5㎞를 2015년까지 개통한다. 북부지역 순환 도로망 구축을 위한 북부 순환도로 6.74㎞중 3.52㎞를 2016년까지 완공하고, 일곡~용전 간 병목구간 1.6㎞를 2015년까지 조기에 구축해 교통난을 해소한다.
하루 교통량이 13만5000여 대로 교통체증이 심한 빛고을대로의 교통량 분산을 위해 올해 상무지구~첨단산단간 4.94㎞의 도로개설 예비타당성조사를 실시하고 경제성이 확보되면 국비를 확보해 추진한다.
산업단지 활성화를 위해 진곡산업단지와 호남고속도로를 잇는 진곡산단 진입도로 6㎞를 2015년까지 개통하고, 평동3차 일반산업단지와 광주·완도간 고속도로를 연결하는 평동3차 일반산단 진입도로 4㎞를 2018년까지 신규로 개설하기 위해 국비확보에 나선다.
급경사, 급커브 등으로 사고 위험이 높은 도로 구조도 개선한다. 행림마을~시 경계 간, 농장다리(동지교) 경사 완화 공사를 올해 준공한다. 또 남구청 앞 대남대로의 백운고가 386m를 지하차도 840m로 변경하는 선형개량 사업을 위해 기본 및 실시설계를 추진할 계획이다.
하계U대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경기장, 선수촌 진입도로도 개설된다. 상무로~금호지구간 주경기장 진입도로 1.44㎞와 백운주유소~월산마을 간 선수촌 진입도로 1.09㎞를 2015년 3월까지 신설한다. 대회 기간 원활한 교통흐름과 환경개선을 위해 경기장 진입도로 11곳, 선수훈련시설 진입도로 9곳 등 총 20곳을 정비한다.
문평섭 도로과장은 “현재 추진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는 광역 교통망 구축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해 시민의 교통 편의를 도모하고 도시발전을 이끌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광주광역시청 소개
광주광역시청은 150만 시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10년부터 강운태 시장이 시정을 이끌어오고 있다. 강운태 시장은 행복한 창조도시 광주를 만들겠다는 시정 목표 아래 전국 지자체 최초로 매주‘시민과의 만남의 날’ 운영으로 소통행정 실현해오고 있다. 광주시의 3대 시정 방향은 민주 인권 평화도시, 인본 문화 예술 도시, 첨단과학산업도시 건설이다. 의병활동,학생동립운동,5·18민주화 운동을 소중한 자산으로 활용해 UN인권 도시 지정을 추진 중이며, 5조3천억원을 투자해 아시아문화중심도시를 조성하고 있다. 또한 소상공인 지원을 확대하고 광주R&D특구 지정을 계기로 첨단과학산업도시로 발전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출처: 광주광역시청
홈페이지: www.gwangju.go.kr
광주시는 고속도로 신설·확장, 교통혼잡 구간 개선, 광역도로 건설, 산업단지 지원도로 개설, 위험도로 구조개선 등을 통해 물류비용 절감과 시민 불편해소, 교통사고 예방, 지역균형발전을 꾀한다.
우선 광역 고속도로망을 구축해 교통량을 분산한다. 호남고속도로 상습 지·정체 구간인 동광주~광산IC간 11㎞의 노선을 4차선에서 6~8차선으로 확장하기 위해 올해 기본설계를 추진한다.
광주·전남 남북 방면 접근성 향상과 지역개발 촉진을 위해 광주~완도간 고속도로 89.3㎞를 2020년까지 개설할 계획으로 실시설계를 한다. 광주 인근 4개 시·군을 잇는 광주순환고속도로 2구간인 본량~진원 간 16.15㎞ 중 10.3㎞에 대해서는 올해 실시설계를 마무리하고 공사를 착공할 계획이다.
교통체증이 심한 도심 내 혼잡도로도 집중적으로 개선한다. 국도 13호선 기능상실로 인한 혼잡 해소와 어등산 관광단지 진입도로를 확보하기 위해 하남산단 외곽도로 5.5㎞를 2015년까지 개통한다. 북부지역 순환 도로망 구축을 위한 북부 순환도로 6.74㎞중 3.52㎞를 2016년까지 완공하고, 일곡~용전 간 병목구간 1.6㎞를 2015년까지 조기에 구축해 교통난을 해소한다.
하루 교통량이 13만5000여 대로 교통체증이 심한 빛고을대로의 교통량 분산을 위해 올해 상무지구~첨단산단간 4.94㎞의 도로개설 예비타당성조사를 실시하고 경제성이 확보되면 국비를 확보해 추진한다.
산업단지 활성화를 위해 진곡산업단지와 호남고속도로를 잇는 진곡산단 진입도로 6㎞를 2015년까지 개통하고, 평동3차 일반산업단지와 광주·완도간 고속도로를 연결하는 평동3차 일반산단 진입도로 4㎞를 2018년까지 신규로 개설하기 위해 국비확보에 나선다.
급경사, 급커브 등으로 사고 위험이 높은 도로 구조도 개선한다. 행림마을~시 경계 간, 농장다리(동지교) 경사 완화 공사를 올해 준공한다. 또 남구청 앞 대남대로의 백운고가 386m를 지하차도 840m로 변경하는 선형개량 사업을 위해 기본 및 실시설계를 추진할 계획이다.
하계U대회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경기장, 선수촌 진입도로도 개설된다. 상무로~금호지구간 주경기장 진입도로 1.44㎞와 백운주유소~월산마을 간 선수촌 진입도로 1.09㎞를 2015년 3월까지 신설한다. 대회 기간 원활한 교통흐름과 환경개선을 위해 경기장 진입도로 11곳, 선수훈련시설 진입도로 9곳 등 총 20곳을 정비한다.
문평섭 도로과장은 “현재 추진 중이거나 계획하고 있는 광역 교통망 구축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해 시민의 교통 편의를 도모하고 도시발전을 이끌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광주광역시청 소개
광주광역시청은 150만 시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10년부터 강운태 시장이 시정을 이끌어오고 있다. 강운태 시장은 행복한 창조도시 광주를 만들겠다는 시정 목표 아래 전국 지자체 최초로 매주‘시민과의 만남의 날’ 운영으로 소통행정 실현해오고 있다. 광주시의 3대 시정 방향은 민주 인권 평화도시, 인본 문화 예술 도시, 첨단과학산업도시 건설이다. 의병활동,학생동립운동,5·18민주화 운동을 소중한 자산으로 활용해 UN인권 도시 지정을 추진 중이며, 5조3천억원을 투자해 아시아문화중심도시를 조성하고 있다. 또한 소상공인 지원을 확대하고 광주R&D특구 지정을 계기로 첨단과학산업도시로 발전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출처: 광주광역시청
홈페이지: www.gwangju.go.kr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