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글로벌 3자물류업체 동향
이명규 2014-06-26 10:16:26

 캡처.JPG

<표. 2013년 글로벌 3자물류기업 순위
출처.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3년 글로벌 3자물류업체 동향

 

화주들은 효율적인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을 위해 기업 운영에 적합한 신규물류업체를 찾는 노력을 지속하고 있음.
미국계 물류관련 리서치·컨설팅 기관인 ‘Armstrong & Associates’가 발표한 2013년 상위 50개 글로벌 3자물류기업 리스트에 따르면, 화주들은 화물 운송과 관련하여 다양한 옵션들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Armstrong & Associates의 Evan Armstrong 사장은 “기업들은 국제 활동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 다수의 3자물류업체들보다는 적합한 능력을 갖추고 있는 소수의 3자 물류업체와 거래하려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미국의 내수 시장을 중심으로 두드러지고 있다”고 언급함.
또한 Total Quality Logistics사와 Echo Global Logistics사와 같이 급성장중인 주요 기업들 간의 경쟁이 가속화 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서비스 확대를 위한 중소규모의 운송업체들간의 통합이 지속적으로 이루어 질 것이라고 전망했음.


Kuehne + Nagel, Expeditors International of Washington, Panalpina 등의 물류기업들은 전년대비 2.9% 미만의 상대적으로 낮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음.
Armstrong & Associates에 따르면, 글로벌 물류기업들의 낮은 성장률은 최근 아시아 물류시장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아시아지역 시장 진출 증가와 아시아 지역 내 부가가치 창출형 보세창고 개설 등의 네트워크 구축에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됨.


글로벌 물류기업들의 아시아 지역 진출 현상은 중국과 동남아시아 지역에 주요 운영 네트워크를 가진 Kerry Logistics사와 Toll Holdings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침. 이러한 변화로 2013년 29위를 기록한 Kerry Logistics사는 중국 시장의 핵심 물류기업으로 성장했음.
또한 2013년 12월 주식상장을 통해 모기업 Kerry Properties Limited에서 분리되었음.


우리나라 기업으로는 유일하게 범한판토스(Pantos Logistics)가 약 25억 달러의 매출액으로 30위에 기록되어 있음.

Armstrong & Associates가 발표한 2013년 미국 내 3자물류시장은 전년대비 3.5%의 성장률을 기록했는데, 이는 미국 경제 성장률 둔화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됨.
전반적으로 수송장비의 구매 및 확장비용이 증가했으나, 이러한 시설 및 장비를 효율적으로 운영하는 인력 부족 문제는 미국 내 물류시장 성장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음.


Coyote Logistics사와 XPO Logistics사는 타 기업들과의 인수 ? 합병을 통해 각 20억 달러 이상의 수익을 달성하여 미국 내 운송 시장의 한축을 차지하고 있는 C.H. Robinson Worldwide사에 필적하는 거대 운송업자로 성장할 가능성을 보여줌.
한편 3자물류업계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영향요인 또는 정보자료를 활용할 필요가 있음.

 

1. 아마존 이펙트(Amazon Effect)
Armstrong & Associates는 세계 최대 인터넷 종합쇼핑몰 아마존의 성장이 3자물류 시장의 핵심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했음. 아마존은 운영 효율성을 위해 부가가치 창출형 보세창고와 유통부분의 3자물류업체 활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물류 및 유통부분의 3자물류업체를 적극 활용하고 있음. 아마존은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압도적인 입지를 차지하고 있으며, 전략적으로 부가가치 창출형 보세창고와 유통네트워크를 확장하고 있음.
DHL Supply Chain & Global Forwarding사, FedEx Supply Chain사, GENCO사, OHL사, UPS Supply Chain Solutions사와 소규모 e-commerce 기업인 eBay Enterprise사(구 GSI Commerce)와 Innotrac사 등이 아마존의 전략에 영향을 받고 있음. 특히 2013년 Menlo Worldwide Logistics사는 아마존 성장의 핵심 수혜기업으로 2013년도 업무의 대부분이 아마존의 물류업무였음.


2. 자산 기반 및 비자산 물류업체의 균형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의 John Langley 박사와 Adelante SCM의 Adrian Gonzalez 사장은 서비스 다양성을 통해 자산기반 물류업체와 비자산 물류업체의 균형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언급함.
자산기반 물류업체들은 보유하고 있는 자산을 최대한 활용하고, 다양한 운송경로의 특징을 파악하여 화주의 요구와 환경적 상황에 맞는 탄력적인 운송경로 배정 등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며, Cloud Computing1)을 통해 화주에 대한 투명성을 확대하는 등 새로운 IT 기술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있음.
비자산 물류업체들은 고객관리의 중요성이 확대되면서 기술공급자(technology provider)와 유사한 성향을 보이고 있음.

또한 고객들에게 보다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물류업체간 인수합병이 지속될 것이며, 이를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이 제시될 것이라고 언급함.


3. 매직 쿼드런트(Magic Quadrant)
가트너의 매직 쿼드런트 글로벌 3자물류 보고서에 따르면 3자물류업체들은 제품의 소유권을 제외하고 화주를 대신하여 제품사이클의 전 단계를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남. 3PL을 LSP(logistics service provider)와 동일어로 간주하고 있음. 지식 및 IT 기술 수용 등을 통해 3자물류업체 스스로의 가치를 높여 고객의 공급망 과제를 해결하고 신규 고객을 창출하는 등 서비스를 확장하고 있음.
나아가 몇 개의 기업이 fourth-party logistics provider(4PL)와 lead logistics provider(LLP)라는 단일 기업의 형태를 갖추어 대고객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례가 늘고 있음. 매직 쿼드런트는 전 세계의 화주 기업들이 다양한 3자물류업체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지역에 맞는 안정적인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물류기업들 간의 정보 교환 등에 사용될 목적으로 작성되고 있음.


4. 물류 동향 레이더(Logistics Trend Radar)
2013년 두 번째 버전이 발표된 물류 동향 레이더는 최근의 물류업계의 새로운 동향을 소개하고 업계전문가들의 분석을 통해 직면한 과제를 파악하고 향후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 있음. 보고서의 핵심은 옴니 채널(omni-channel) 물류와 서로 다른 오프라인과 온라인 채널의 통합과 같은 새로운 트렌드를 제시한 점임.
DHL 물류 연구팀은 물류 동향 레이더가 학계 및 실무전문가들의 협력을 통해 딥다이브(deep dive) 형식으로 물류 동향을 분석하고 있으며, 기업들의 물류네트워크 확장과 물류전문가들에게 좋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언급함.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www.kmi.re.kr(국제물류위클리 제262호)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
관련협회 및 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