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표지=뉴스와이어) ‘14년 2/4분기 가축사육마릿수는 전분기보다 한·육우, 육계는 증가하고, 젖소, 돼지, 산란계, 오리는 감소
한·육우: 287만 9천 마리로 전분기보다 6만 8천 마리(2.4%) 증가
계절적 요인으로 송아지 생산 증가 등에 기인
돼지: 968만 마리로 전분기보다 1만 8천 마리(-0.2%) 감소
질병(PED) 발생에 따른 폐사 증가 등에 기인
산란계: 6,285만 1천 마리로 전분기보다 172만 1천 마리(-2.7%) 감소
AI 발생으로 인한 폐사 증가 및 노계 도태 등에 기인
육계: 10,359만 3천 마리로 전분기보다 2,571만 4천 마리(33.0%) 증가
여름철 보양식 및 월드컵 특수에 대비한 입식 증가에 기인
오리: 608만 9천 마리로 전분기보다 48만 8천 마리(-7.4%) 감소
AI 발생으로 종오리 부족에 따른 입식 마릿수 감소 등에 기인
출처: 통계청
홈페이지: www.nso.go.kr
한·육우: 287만 9천 마리로 전분기보다 6만 8천 마리(2.4%) 증가
계절적 요인으로 송아지 생산 증가 등에 기인
돼지: 968만 마리로 전분기보다 1만 8천 마리(-0.2%) 감소
질병(PED) 발생에 따른 폐사 증가 등에 기인
산란계: 6,285만 1천 마리로 전분기보다 172만 1천 마리(-2.7%) 감소
AI 발생으로 인한 폐사 증가 및 노계 도태 등에 기인
육계: 10,359만 3천 마리로 전분기보다 2,571만 4천 마리(33.0%) 증가
여름철 보양식 및 월드컵 특수에 대비한 입식 증가에 기인
오리: 608만 9천 마리로 전분기보다 48만 8천 마리(-7.4%) 감소
AI 발생으로 종오리 부족에 따른 입식 마릿수 감소 등에 기인
출처: 통계청
홈페이지: www.nso.go.kr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