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 Schenker의 글로벌 물류시장 진출전략 DB Schenker의 글로벌 물류시장 진출전략
이명규 2014-12-26 11:19:26

 캡처.JPG

<사진. DB Schenker
출처. 한국해양수산개발원>

 

DB Schenker의 글로벌 물류시장 진출전략

 

DB Schenker는 유럽 전역의 내륙운송과 전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항공 화물, 그리고 해상화물 주선 및 글로벌 공급체인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는 토탈 물류업체임.
Deutsche Bahn은 기존의 전통적인 인프라 기반의 철도운송 사업에서 벗어나 물류 및 글로벌 네트워크 강화를 목적으로 지난 2002년에 Stinnes AG와 Schenker를 인수합병하면서 글로벌 물류 서비스의 기반을 조성하게 되었음. Deutsche Bahn은 운송과 물류 부문에서 세계 최고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유럽에서 가장 긴밀한 육로 운송 네트워크와 유럽의 가장 큰 철도 화물 회사로서 전문성을 갖추고 있음.
현재 DB Schenker는 독일 국영철도회사인 Deutsche Bahn의 자회사로 육상, 해상, 항공화물까지 처리하는 종합물류사업 부문이며 2013년을 기준으로 DB 그룹 매출의 50% 정도인 약 197억 유로의 매출을 창출했음. DB Schenker는 세계의 경제 거점이 되는 2,000여 지역에서 96,000여명의 직원을 통해 고객 서비스와 품질, 지속가능경영에 맞춰진 글로벌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음. DB Schenekr가 속한 Deutche Banhn 그룹의 2020년 매출 목표는 약 700억 유로로, 그룹사의 목표 달성을 위해 최근 신흥시장에서의 글로벌 네트워크 확장에 역량을 집중하고 있으며 내부 프로세스 최적화와 전세계를 아우르는 IT 시스템 역량 강화에 힘을 쏟고 있는 상태임.


DB Schenker의 계약물류(Contract Logistics)는 자동차, 소비재, 전자, 산업재 및 헬스케어 부문의 5대 핵심 물류분야가 있음.
그중에서 자동차 물류 비중이 높은 사업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독일 산업에 대한 비중이 높기 때문에 최근 몇 년간 산업의 발전으로 자본설비 물류사업의 성공뿐만이 아니라 자동차 수출에서도 높은 매출을 기록했음. DB Schenker는 항공화물 주선사업을 강화하기 시작하면서 점차적으로 전자부문 물류수요가 늘어나고 있으며 헬스케어 부문도 증가하고 있는 추세임.


DB Schenker는 모든 운송수단(철도, 도로, 선박 및 항공)을 제공하기 때문에 원스톱 운송이 가능함.
2013년에 동 회사는 화물 포워딩 사업을 중동과 아프리카까지 확장하였고 같은 해 아부다비에 합작회사를 설립하기도 했음. 2013년 항공과 해상운송 물동량은 전년대비 각각 0.3%, 0.7%가 감소했지만 2014년 상반기 물동량은 2013년 상반기 대비 각각 2.6%, 8.5%가 증가했음.


최근 DB Schenker는 아시아 물류시장 진출을 계획하면서 다수의 업체들이 경쟁하는 해상운송 대신 철도운송을 선택했음.
2014년 9월 DB Schenker는 함부르크를 출발하여 독일을 거쳐 중국 정저우로 가는 철도 운송루트를 발표했는데 정저우로 가는 열차는 10,214km의 거리를 총 17일에 걸쳐 운행하며 폴란드, 벨라루스, 러시아 및 카자흐스탄 등을 경유함. 철도운송은 해상운송에 비해 총 20여일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700억 유로의 연매출이 필요한 ‘DB 2020 전략’의 달성을 위해 운송부문과 물류사업부문의 관리 및 철도화물운송사 유럽본부를 프랑크푸르트 한 곳으로 통합해서 기업의 효율성 증진을 진행했음.
지난 2013년에는 향후 5년 동안 전세계적으로 30여 개의 새로운 공유 물류센터(Shared Logistics Centres)를 건립하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으며 각각의 물류시설을 교통의 중심지 인근에 전략적으로 위치시킴으로써 현존하는 물류시설과의 통합하고 투자를 집중시킬 계획임. 본 전략의 목표는 단일장소에서 항공과 해운의 통합 물류 서비스 제공을 통해 효율성과 생산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것임.
올해 DB Schenker에서 발표한 것처럼 헝가리 부다페스트 지역에 있는 모든 사무실과 물류관련시설을 한곳에 통합하는 것과 두바이에 새로운 물류센터를 착공하기 시작한 것 등이 본 전략의 예가 될 수 있음.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www.kmi.re.kr(국제물류위클리 288호)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
관련협회 및 단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