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HP, 연세대학교의 유비쿼터스 강의 구현 위한 무선 기술 및 모바일 컴퓨팅 기기 지원 한국HP, 연세대학교의 유비쿼터스 강의 구현 위한 무선 기술 및 모바일 컴퓨팅 기기 지원
이주형 2006-08-08 19:52:36
한국HP(대표 최준근, www.hp.co.kr)는 연세대학교(총장 정창영, www.yonsei.ac.kr)에 모바일 컴퓨팅 및 무선 기술을 활용하여 유비쿼터스 강의 환경 구현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번 지원을 통해 교직원과 학생에게 새로운 학습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연세대학교 이재용교수(차세대 RFID/USN 기술 연구센터장, 전기전자공학부)는 한국HP의 지원으로 무선 온라인 협업 공간을 통하여 시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는 학생과 교수간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해져 학습 자료 공유와 협업공간을 통한 질의 응답이 가능해 지는 등 시범적인 유비퀴터스 강의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학생들은 2007학년도 2학기 대학원 수업을 통해 HP 태블릿 PC와 모바일 기술을 활용하여 학생간의 그룹 프로젝트를 공동 협업공간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지 수행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교수와 그룹간의 연구결과를 공유하며 토의 할 수 있게 된다. 아태지역 차원에서 진행되는 HP의 대학 캠퍼스 강의 환경 개선 프로그램은 연세대학교를 포함하여 아태지역 4개국 5개 대학에 현금 지원과 함께 각 대학들이 HP의 모바일 컴퓨팅 및 무선 기술을 활용하여 강의 및 학습 모델을 변모시켜 학습 관련 기술을 캠퍼스 전체에 확대 적용시키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이러한 모델 채택과 실제 구현에 교직원이 직접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대학의 주요 관리자들에게 교육 환경에서 모바일 기술의 잠재력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기회를 마련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지원 대상 대학은 한국의 연세대학교, 인도의 안나대학교(Anna University)와 자다브푸르대학교(Jadavpur University), 일본의 도쿄대학교(the University of Tokyo), 뉴질랜드의 캔터베리대학교(the University of Canterbury) 등의 5곳이다. HP의 지원을 받는 대학들은 HP 모바일 기술을 주요 교과 과정에 어떻게 적용 및 통합시켜, 강의 및 학습 능력을 얼마나 향상시켜줄 수 있는지 보여주는 프로젝트 제안서를 제출한 바 있다. 각 대학은 HP 태블릿 PC와 외장 스토리지, 광 드라이브, 무선 네트워킹 카드, 프린터, 디지털 카메라 등의 제품 지원과 함께, 약 15개월에 걸쳐 지원 완료될 프로젝트의 투입 인력에 대한 인건비를 포함한 미화 약 7만 달러 규모의 지원을 받게 된다. 수혜 대학 관계자들은 2007년 초, HP가 주관하는 교육 환경 개선 연례 컨퍼런스에서 다른 수혜 대학 관계자들과 만나 최적의 교육환경 구축을 위한 아이디어를 나누는 자리를 마련할 예정이다. 연세대학교 이재용 교수는 “이번 지원을 통해 연세대학교는 모바일 컴퓨팅과 무선 기술 을 활용한 시범적 유비쿼터스 교육환경을 갖추게 되었다.” 라고 하면서 “학습에서 교수와 학생간뿐 아니라, 그룹화된 학생과 학생들간의 학습내용을 수업시간뿐 아니라 그 외 시간에 시간과 장소에 관계없이 공유하면서 토의할 수 있게 되었다.“라고 말했다. 한국HP 최준근 사장은 “HP는 글로벌 시티즌쉽 활동을 통해 환경,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회적 책임을 수행하고 있다. 이번 지원도 대학들이 혁신적인 학습 기술 개발의 새로운 성공 모델을 창출하도록 지원하는 HP의 목표에 부합된다”고 의의를 밝혔다. 연세대학교와 함께 수혜자로 선정된 4개 대학들의 프로젝트는 아래와 같다. - 안나대학교(인도): 학생들이 핸드헬드 컴퓨터를 사용하여 교육 콘텐트에 액세스하여 컴퓨터 사이언스 과정과 IT 과정을 이수할 수 있도록 ‘모바일 학습(M-learning) 센터’를 개설할 예정이다. 이 센터에서는 ‘모바일 학습 저작 툴’을 활용하여 포털 및 디지털 도서관을 관리하고, 콘텐트 관리 및 개발을 지원하게 된다. 학생들은 기존 저가형 컴퓨터와 무선 기술을 바탕으로 구축된 서버 기반 오픈 소스 무선 연구시설도 활용할 수 있게 될 예정이다. 학생들은 함께 설치될 ‘프로젝트 인큐베이션 센터(Project Incubation Center)’로 프로젝트 제안서를 제출할 수 있게 된다. 이 중에서 선택된 프로젝트는 실제 수행에 필요한 각종 지원을 받게 될 것이다. - 자다브푸르대학교(인도): HP 모바일 기술은 컴퓨터 사이언스, 전자 통신의 기반을 이루는 엔지니어 양성을 위한 새로운 교과 과정인 `분산 및 모바일 컴퓨팅(Distributed and Mobile Computing)`의 핵심적인 요소가 될 것이다. 강의실과 연구실이 하나로 통합되어 있어 학생들은 각자의 강의실에서 백엔드 방식으로 연구 시설에 액세스할 수 있다. 교수들은 학습 관리 시스템(Learning Management System)을 통해 온라인 데모 강의를 진행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모바일 컴퓨팅 연구소를 함께 개설할 대학과 협력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 도쿄대학교(일본): 동경대학에서 개발한 새 학습 프로그램은 강의실 안팎에서 학생들의 학습 능력을 개선시키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학생들은 GPS(위치 정보 시스템)이 장착된 태블릿 PC를 사용하여 교정을 거닐면서 쓰레기와 수질 오염 같은 환경 문제를 직접 체험할 수 있다. GPS 로그 데이터는 이후 하나의 맵(지도)으로 병합되므로 학생들은 이를 통해 문제 해결방법을 찾아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학생들은 무선 LAN 기반 태블릿 PC에 연결된 다양한 입력 보드 또는 터치식 보드(Sensing Board)를 사용하여 그룹별로 자체적인 환경 시뮬레이션을 만들 수 있다. - 캔터베리대학(뉴질랜드): 기술 공학 전공 학생들은 e러닝 시스템을 통해 일대일 지원을 체험하게 된다. 이 시스템을 활용하면 과제물을 온라인으로 제출하고 교수의 조언과 일대일 피드백을 받을 수 있는데, 이를 통해 모두 학생들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다. 모든 시스템이 웹 기반으로 구축되어 있으므로 학생들은 강의실과 집 등 어느 장소에서나 학습이 가능하다. 언론문의처 권형준 차장 (한국 HP 홍보팀): 2199-1796 김희영 대리 (한국 HP 홍보팀): 2199-4029 이윤지 사원 (HP홍보대행사_코콤포터노벨리): 6366-1504 홈페이지 http://www.hp.co.kr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