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쿠스티카, 스마트폰 및 초소형 웨어러블 기기용 최신 고성능 최소형 MEMS 마이크 출시 어쿠스티카, 스마트폰 및 초소형 웨어러블 기기용 최신 고성능 최소형 MEMS 마이크 출시
NewsWire 2014-03-11 18:07:17
· 이번 출시 되는 MEMS마이크 신제품 4개 모델은 마이크가 여러 개 탑재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음질을 향상시킴.
· 신제품 군 중에는 바닥면적이 6mm2로 매우 작은 사이즈에 SNR이 64dB가 지원되는 유일한 MEMS마이크인 AKU346이 포함됨.
· 어쿠스티카/보쉬 자체의 디자인 및 제조기술 역량이 제품 세대교체를 촉진할 것.

(발표지=뉴스와이어) 보쉬 그룹 계열사로서 MEMS(미세전자기계시스템) 마이크 분야 선도기업인 어쿠스티카(Akustica, Inc.)가 64dB의 신호 대 잡음비(SNR) 를 구현하는 업계 최소형 MEMS마이크인 ‘AKU346’을 포함한 고성능 아날로그 마이크 신제품 4개 모델을 기존 고선명(HD) 음성 제품 라인에 추가하여 출시했다. 크기와 성능의 제약을 받는 스마트폰과 초소형 웨어러블 기기 채용에 적합하도록 디자인한 HD음성 마이크 신제품은 규격이 작고 SNR이 높으며 감도를 밀접하게 조화시키고 초 광대역 주파수 특성이 있어서 소비자 전자 기기의 음성 인식 명료도와 정확도를 향상시킨다.

이들 신제품은 디자인과 제조에 새로운 혁신기술을 적용하여 마이크 간에 +/-1 dB 의 감도 차이를 보장할 수 있다. 고선명(HD) 음성 마이크 신제품은 이처럼 마이크 간의 감도가 밀접하게 조화되고 SNR이 높아 두 개 이상의 마이크와 잡음 억제 알고리즘을 탑재해야 하는 소비자 전자 기기를 생산하는 업체들의 요구를 충족시킨다. 대체로 이러한 알고리즘은 감도가 서로 조화되고 성능이 우수한 마이크를 통해 잡음제거와 음성 인식의 정확도를 최적화 한다.

특히 잡음이 있는 환경과 애플리케이션이 마이크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3피트 이상) 경우에는 음성 인식이 어렵다. 실험 결과, 이러한 상황에서는 SNR이 약간만 향상(1-2dB) 되어도 인식 정확도 비율은 크게 올라간다(5% 이상). 인식 정확도가 1~2% 포인트 달라지면 음성의 영역이나 쇠퇴 정도에 상관없이 음성인식에 차이가 난다. 이 때문에 소비자 기기 제조업체들은 제품의 최종 시험 후에 불량품을 선별할 때 발생하는 추가적인 비용을 유발하지 않고 마이크가 여러 개 탑재되는 애플리케이션의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더욱 성능이 우수하고 감도가 균일한 마이크를 계속 요구하고 있다.

AKU346 -SNR이 64dB인 업계 최소형 MEMS 마이크

AKU346은 바닥 면적이 6mm2 이고 높이가 0.93mm일 정도로 작아서 업계의 일반적인 바텀 포트(bottom-port) 마이크 보다 디자인 공간을 33% 적게 사용하면서도 SNR이 64dB이어서 유선 및 무선 헤드셋, 스마트시계, 스마트 안경 등 착용 가능한 작은 액세서리에 채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AKU143, AKU345 및 AKU344

AKU143, AKU345 및 AKU344 마이크는 SNR이 65dB이고 바닥 면적과 핀이 어쿠스티카의 이전 세대HD음성 마이크와 호환성이 있는 상부 및 하부 포트 방식 마이크이다. 이 세가지 마이크 모델은 업계 표준 규격이어서 현행 디자인 제품의 성능을 쉽게 업그레이드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이들 마이크 신제품 4개 모델은 제스처 인식, 게임, 펜 및 위치 탐지 등의 초음파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한다.

출시 시기

현재 HD음성 마이크 신제품 4개 모델의 샘플은 메이져 고객사를 대상으로 출시 중이며 2014년2분기에 양산할 예정이다. 고객 가격 정보는http://www.akustica.com/contact.asp에 접속하여 해당 지역 판매 대리점에 문의 혹은 어쿠스티카 한국지사 (Joonwoo.jung@kr.bosch.com)를 통해 알아 볼 수 있다. 이들 제품에 대한 더 상세한 정보와 데이터 표는 www.akustica.com에서 볼 수 있다.

사진/멀티미디어 자료 : http://www.businesswire.com/cgi-bin/mmg.cgi?eid=50812994&lang=en

[이 보도자료는 해당 기업에서 원하는 언어로 작성한 원문을 한국어로 번역한 것이다. 그러므로 번역문의 정확한 사실 확인을 위해서는 원문 대조 절차를 거쳐야 한다. 처음 작성된 원문만이 공식적인 효력을 갖는 발표로 인정되며 모든 법적 책임은 원문에 한해 유효하다.]

출처: Akustica, Inc.
홈페이지: www.akustica.com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