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KI가 사용된 태양열 열전기(熱電氣) 제어 시스템 EKI가 사용된 태양열 열전기(熱電氣) 제어 시스템
김재호 2009-11-22 00:00:00

EKI가 사용된
태양열 열전기(熱電氣) 제어 시스템
어드밴텍

 

Production Automation
Location: China

 

프로젝트 소개
태양은 매일 지구로 약 10,550 EJ의 에너지를 보내고 있는 풍부한 전력의 거대한 원천이다. 1시간 동안 지구로 보내는 에너지의 양이 1년 동안 전 세계의 모든 도시에서 사용하는 에너지 량보다 더 많은 것이다. 이 막대한 전력을 이용하기 위해서, 많은 나라에서 30여 년간 태양열 기술에 투자하고 있다. 오늘날의 태양열 열전 시스템(thermoelectric systems)에는 반사기(reflectors), 미러(mirrors), 단열 흡수기(heat insulating absorbers) 및 향상된 모션 컨트롤 기술을 포함한다. 어드밴텍의 고유한 산업용 무선 이더넷 제품은 우수한 성능, 신뢰성 및 견고성을 지니고 있어 이러한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시스템 요구사항
무선 통신은 많은 어플리케이션을 위해서 산업용 유선 솔루션의 대체 역할을 하고 있다. 전형적인 태양열 열전 컨트롤 시스템에서, 유선과 무선의 결합으로 데이터 전송과 필드 어플리케이션에 관련된 문제들을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Ad-hoc 모드일 때, 무선 네트워크 카드는 복잡한 네트워크 구조나 고속을 요구하지 않으며, 여러 최종 사용자의 노력 없이 간단한 네트워크가 구축될 수 있다. 이러한 태양열 열전 컨트롤 시스템에서, 고객은 다음과 같은 조건의 무선 네트워크를 요구하였다.
*높은 전자 환경 적합성을 지닌 산업용 등급의 장비
*높은 온도와 습도의 극한의 환경에서 작동이 가능한 팬리스 제품
*긴 MTBF
*용이한 네트워크 관리

 

프로젝트 실행  
* EKI-6311G      
   802.11b/g wireless AP/wireless bridge client
* EKI-1351       
   1-port RS-232/422/485 to 802.11b/g wireless serial device

 

시스템 다이아그램


시스템 설명
WLAN 액세스 포인트(AP)는 이더넷 스위치와 상당히 유사하다. 한편으로, 각각의 AP는 그것이 고정된 노드인지 아니면 모바일 노드인지 상관없이 정규 노드(클라이언트)와 통신을 한다. 다른 한편으로, AP는 케이블이나 독립적인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서 서로 직접 연결할 수 있으며, 무선 네트워크의 제한 없이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이러한 솔루션에 어드밴텍의 무선 AP EKI-6311G와 무선 EKI-1351 시리얼 디바이스 서버가 채택되었다. 100개의 PLC가 필드에 배치되었고 각각의 PLC는 정보를 호스트 컴퓨터에 전송하기 위해서 무선 모드를 적용하였다. 또한, 이러한 PLC는 중앙 제어실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어드밴텍은 신뢰성 높은 무선 네트워크 전송을 보장하기 위해서 PLC 10개마다 무선 AP 1개의 비율로 제안을 했다. 무선 AP는 WDS(Wireless Distribution System) 기술을 적용해서 유연하게 연결되는 것을 허용하며, 100개의 EKI-1351을 통해서 100개의 PLC 모두에 데이터를 전송을 하고 관련된 모든 정보를 중앙 제어실로 업로드 하는 것을 용이하게 했다.


구축성과
무선 네트워크 모듈을 이용하여 컨트롤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유지보수 비용과 시스템 중단 시간이 축소되면서 관리가 간편해 진다.
*원격 진단과 보수를 제공한다.
*디바이스 회전으로 인한 카본-브러시 마모와 와이어 손상의 문제점을 해결한다.
*부식이 쉽게 진행되는 환경에서 디바이스의 연결을 가능하게 해준다.
*복잡한 네트워크 배선작업을 위해 소모되는 비용과 노력을 절감시켜 준다.

54 Mbps의 고속 전송속도, 128-비트 WEP 암호화, IP65기반의 방진 방수 설계 및 향상된 듀얼 안테나를 제공하는 어드밴텍의 EKI-6311G AP로 무선 전송을 크게 향상시키고 거친 산업 환경에서 신뢰성 높은 무선 통신 플랫폼을 구축할 수 있다.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