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금융 종합센터 9월 BIFC 입주 업무 개시
- 내달 분양계약 맺고 실무작업
- 올해 내 해운보증기구도 설립
- 기금규모 2조→5500억 원 축소
정부가 선박금융공사 대안으로 추진 중인 해양금융 종합센터가 오는 9월 부산국제금융센터(BIFC)에 입주한다. 또 해운보증기구가 올해 안에 설립돼 업무를 시작한다.
금융위원회는 5월 15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정책금융 역할재정립 방안' 향후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먼저 오는 21일 기술보증기금 본관에서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등 기관별 실무 인력이 참석한 가운데 개소식을 열고 해양금융 종합센터 설립을 본격 추진한다. 다음 달 중 BIFC 분양계약을 맺고 사무실 준비, 전산시스템 구축, 기관 간 협의 등 이전을 위한 실무작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금융위는 오는 7월까지 기관별 정관과 내규 개정 등을 통해 내실 있는 운영방안을 확립한다는 방침이다. 개정 내용은 ▷해양금융 조직 소재지를 부산으로 명시하고 ▷본부장에 대해 인사와 예산, 조직 독자성을 부여하며 ▷3억 달러 미만 여신은 부행장·본부장 책임하에 승인하는 여신관련 전결권 확대 등이다.
기관별 이전 인력, 조직, 업무와 센터 운영방안을 최종 협의해 8월까지 확정하고 9월부터는 단계별로 센터 입주 및 업무개시를 한다는 방침이다. 금융위는 9월에는 가능한 인원인 70명을 우선 이전한 이후 정원 협의 등을 거쳐 올 연말 혹은 내년 초까지 나머지 인원을 입주시켜 100명 이상의 정원을 확보하기로 했다.
현재 용역이 진행 중인 해운보증기구 설립 문제는 다음 달 용역 결과가 나온 뒤 산은과 수은의 실무검토 결과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업무범위, 조직·인력 구성 및 운영방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해운보증기구의 업무는 선박 프로젝트 후순위대출 보증, 토니지 뱅크 운영지원 기능(선박운용회사 등이 토니지 뱅크 역할 수행 때 후순위대출 보증) 등을 담을 것으로 보인다. 단 금융위는 해운업을 위주로 지원하되 여력이 생기면 발전과 항공 등 다른 프로젝트 지원을 검토하기로 했다.
당초 2조 원 규모로 조성하기로 했던 기금 규모는 5500억 원으로 축소됐다. 금융위 관계자는 "향후 2년간 2조 원을 지원할 수 있는 규모로 이를 통해 선박 200척을 건조할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이 수치는 향후 5년간 신조 물량의 50%를 잡아서 나온 것"이라고 설명했다.
금융위는 산은과 수은이 협의해 11월까지 상호, 정관, 경영진 구성, 법인설립 등기 등 실무작업을 추진하며 12월에는 가칭 '한국해운보증' 설립이 완료될 것으로 보고 있다. 초기에는 30명 수준으로 업무를 시작하고 점진적으로 현지 채용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 금융위원회 www.fsc.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