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극지조사 30주년 성과
이명규 2014-07-15 17:27:43

 

중국 극지조사 30주년 성과

 

- 남·북극 기지 건설

 
중국은 1980년대부터 현재까지 남극기지(장성기지, 중산기지, 곤륜기지, 태산기지) 4개 및 북극기지(황하기지) 1개를 건설하였다.

 
장성기지(건축면적 4,200m²)는 1985년에 건설되었고, 중국이 서남극의 킹조지섬에서 건설한 첫번째 기지로, 건물 25채 및 운반장비 17대를 보유하고 있다.

 
중산기지(건축면적 6,000m²)는 1989년 동남극의 Larsemann Hills에서 건설되었고, 건물 15채 및 운반장비 19대를 보유하고 있다.

 
곤륜기지는 2009년 남극 대륙 빙개 최고점인 “Dome A” 에서 건설되었으며, 천문관측, 얼음 코어 시추 및 측량/제도 등 연구가 수행되었다. 2005년, 제21차 남극조사대는 “Dome A”를 정복하여, 남극 빙개최고점의 좌표(N 80˚22’’, E 77˚21’’)와 높이(4,093m)를 밝혀 냈으며, 지형도 제작, 얼음 코어 시추, 자동기상시스템 설치 등 작업을 수행하였다. 이는 이후 곤륜기지의 건설에 근거를 마련하였다.

 
태산기지는 2014년 동남극 대륙 빙개지역에서 건설되었다. 태산기지가 건설되면서, 중국 남극조사의 범위를 확대하였을 뿐만 아니라, 남극 대륙의 기후변화, 빙하변동, 원격탐사 등에 관한 연구 수행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것으로 전망된다.

 
황하기지는 중국이 북극에서 건설한 유일한 기지이며, 전세계에서 규모가 가장 큰 우주물리관측소를 보유하고 있다.

 

- 남·북극 연구현황

 
지난 30년 동안, 남극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뤄졌다. 비록, 북극에 관한 연구는 뒤쳐 지는 편이지만, 여러 차례의 조사, 황하기지의 건설 및 북극이사회 진출을 통해, 빠르게 발전되고 있다.

 

(1) 남극 연구

 
지난 30년 동안, 중국 과학자들은 대기과학, 우주과학, 지질과학, 생물과학, 극지빙하와 얼음, 해양과학, 측량제도학, 위성 원격탐사 및 새로운 기술의 활용 등 분야에 관하여, 끊임없는 연구를 수행하였고, 많은 시료와 자료를 확보하였으며, 의미 있는 성과를 많이 도출하였다.

 
지질연구의 경우, 동남극 지각변동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켰으며, 만 개 이상의 운석을 확보하여, 남극 운석 보유량에 있어 전 세계 3위를 차지하였다.

 
생태학 연구의 경우, 크릴새우를 대상으로 생태학과 환경·기후변화 통합연구를 수행하였고, 희귀 저생생물 시료를 확보하였다. 유기 오염물질 조사 및 미생물 분해 발전연구를 수행하였고, 생태/ 생물/미생물 시료 및 중요한 연구자료를 확보하였다.

 
태양-지구 우주환경연구의 경우, 중국과 일본 협력채널을 토대로 중장기 관측을 통해, 정오 이후 발생한 극광을 비롯한 많은 현상을 발견 및 증명하였으며, 고공 대기 관측을 통해, 태양 흑점(1개) 한 주기(11년)의 관측자료를 확보하였다.

 
남극 근현대 환경변동 연구의 경우, 지구화학 요소를 활용하여 1,000년을 단위로 남극의 중요 생물종의 변화를 연구하는 방법을 제시하여, 외국 전문가의 호평을 받았다.

 

(2) 북극 연구

 
쇄빙선 “설룡호” 를 활용하여, 5차례 북극조사를 실시하였다. 북극해 해양/해빙-대기 상호작용에 관한 조사를 통해 중요한 자료와 시료를 확보하였으며, 북극해 해양환경변화와 생태/기후문제 연구, 북극 기후변화와 중국 기후에 미친 영향 기작 연구에 기본 자료를 제공하였다.

 

- 장비 지원

1994년 건조된 쇄빙선 “설룡호” 는 우수한 네비게이션 시스템, 위치 측정 시스템, 자동 조정시스템, 대양조사 장비 및Ka-32 항공기를 갖추고 있으며, 지원을 극대화하였다. 현재까지, “설룡호” 는 총 17차례의 남극조사 및 5차례의 북극조사를 수행하였다.

 
중국 극지조사의 미래 발전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두께가 2m에 달한 얼음을 깰 수 있는 신규 쇄빙선을 건조하고 있으며, 동 쇄빙선이 건조되면 중국의 극지조사 능력이 대폭 강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중국의 극지조사를 지원하기 위해 상하이에서 극지조사기지와 “설룡호” 전용 부두를 건설하였다.

 

■ 한중해양과학공동연구센터 www.ckjorc.org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