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기사최종등록 : 2025-03-27 10:40:17




기사전체보기
-
수산과 어업 - 천혜의 바다목장 이명규 2014-05-07 19:17:11 수산과 어업 - 천혜의 바다목장 우리나라 주변의 해류는 난류인 쿠로시오 해류와 한류인 리만해류에 그 근원을 두고 있다. 이중 특히 동해안은 북한한류와 동한난류가 만나서 교차하는 조경수역으로 플랑크톤이 풍부한 좋은 어장을 이룬다. 때문에 동해는 한류성 어종인 대구,...
-
해양문화 - 해양력과 국가발전 이명규 2014-05-07 19:13:35 해양문화 - 해양력과 국가발전 * 해양력이란 무엇인가?해양력이라는 용어가 세인의 관심을 끌게 된 것은 1890년 마한(Alfred T. Mahan, 1840~1914)이 미 해군대학교에 재직 중 "역사에 미친 해양력의 영향(The Influence of Sea P...
-
해양문화 - 바다의 고고학 이명규 2014-05-07 19:08:40 해양문화 - 바다의 고고학 수중고고학은 과거 물속에 잠긴 유물이나 유적을 발굴하여, 인류의 문화 생활 방식과 역사 등을 밝혀내는 학문이다. 따라서 모든 활동이 바다나 하천 등의 물 밑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조사환경과 방법적인 면에서 육상고고학과는 구분된다. 수중...
- 해양문화 - 해양탐사와 탐험 이명규 2014-05-07 11:41:38 해양문화 - 해양탐사와 탐험 * 해양 탐사의 기틀을 마련한 모리 인류 해양탐사의 과학적 기초를 수립한 것은 미국의 해군 대령 매튜 모리(1806~1872년)로 그는 50만 개나 되는 바람과 해류에 관한 관측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했다.모리는 미국 버지니아에서 태어나...
-
해양문화 - 선박발달사(5) 이명규 2014-05-07 11:38:14 해양문화 - 선박발달사(5) * 선박이 걸어온 발자취(임진수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위원) - 현대의 선박 현대 상선은 전용화·대형화·고속화·자동화의 방향으로 발전하고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인 물동량의 증가로 화물을 효율적으로 수송하기 위해 화물별로...
-
해양문화 - 선박발달사(4) 이명규 2014-05-07 11:32:34 해양문화 - 선박발달사(4) * 선박이 걸어온 발자취(임진수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위원) - 20세기까지의 선박19세기까지 수천 년 동안 배는 사람의 힘이나 바람의 힘으로 추진되었다. 그러나 인력에 의한 추진은 큰 고역이었고, 바람은 조정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
-
해양문화 - 선박발달사(3) 이명규 2014-05-07 11:27:42 해양문화 - 선박발달사(3) * 선박이 걸어온 발자취(임진수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위원) - 15세기~18세기의 선박15∼16세기 들어 유럽 각국이 해외 식민지 쟁탈전에 본격적으로 뛰어들면서부터 선박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기 시작한다. 흔히 지리탐험 시대라고 부르...
-
해양문화 - 선박발달사(2) 이명규 2014-05-07 11:22:46 해양문화 - 선박발달사(2) * 선박이 걸어온 발자취(임진수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위원) - 10세기부터 15세기까지의 선박10세기부터 15세기 중엽까지를 1본(本) 마스트시대라고 한다. 마스트가 하나인 배가 대부분 이었기 때문이다. 이 시대의 대표적인 선박은 북...
- 해양문화 - 선박발달사(1) 이명규 2014-05-07 11:19:09 해양문화 - 선박발달사(1) * 선박이 걸어온 발자취(임진수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연구위원) 인류의 조상들은 강이나 바닷가에서 물고기와 조개 등 어패류를 잡아먹으며 살았고, 고대문명 역시 4대강 유역의 발상지를 비롯하여 대부분 강이나 바다를 끼고 있는 지역에서 발전하...
-
해양문화 - 동서양의 바다관 이명규 2014-05-07 11:16:04 해양문화 - 동서양의 바다관 * 신화와 종교 속에 녹아 있는 바다관인류에게 있어 조선술과 항해술이 발전하기 이전의 바다는 재해를 일으켜 인명을 앗아가는 경외의 대상이며, 초자연적인 존재로서 신앙의 대상이자 신화의 소재로 자주 등장하게 되었다. 따라서 바다와 관련된...
-
해양문화 - 역사로 본 해양활동(우리의 해양사) 이명규 2014-05-07 11:07:04 해양문화 - 역사로 본 해양활동(우리의 해양사) * 선사고대의 해상활동주로 해안유적과 패총에서 발견되는 즐문토기는 고대인들이 해상 활동을 했음을 의미한다. 울산 반구대의 암각화는 고대인들의 해상활동을 입증하고 있다. 해안과 도서지역에서 출토되는 흑요석의 타제석기는...
-
해양문화 - 역사로 본 해양활동(동양의 해양사) 이명규 2014-05-07 11:01:08 해양문화 - 역사로 본 해양활동(동양의 해양사) * 춘추전국시대먼저 중국은 춘추전국시대에 이르러 중국의 각국이 생존을 위한 부국강병책으로 대규모의 관개와 수리사업, 운하 개척과 같은 사업을 실행하였으며, 그 결과 중국 대륙에서 대륙 수운 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