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년 항만 컨테이너 물동량 2,610만TEU 돌파 목표 '14년보다 5.5%늘어, 성장세 지속 위한 화물유치 총력
이명규 2015-03-06 09:55:11

 캡처.JPG

<표. 주요 항만 최근 3년간“컨”처리 실적 및 '15년 목표(단위: 천TEU, %)
출처. 해양수산부>

 

'15년 항만 컨테이너 물동량 2,610만TEU 돌파 목표

 

- '14년보다 5.5%늘어, 성장세 지속 위한 화물유치 총력

 

해양수산부는 올해 전국 항만의 컨테이너 물동량 목표치를 2,610만TEU로 전망했다. 이는 역대 최대치를 기록한 지난해(2,473만TEU) 보다 137만TEU(5.5%) 증가한 수치이다.

해양수산부는 경제성장률 전망과 항만공사(PA) 등 항만운영 주체의 예측,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등 전문기관의 전망, 과거 실적을 종합 고려하여 목표치를 제시하였다고 밝혔다.

주요 항만별로 살펴보면, 전체 컨테이너 물동량의 75%를 담당하는 부산항은 지난해보다 5.1% 증가한 1,960만TEU를 목표로 설정하였다. 이 중 수출입은 950만TEU(2.3%↑), 환적은 1,010만TEU(7.3%↑)로 부산항 개항 이후 최초로 환적화물 1천만TEU를 달성할 전망이다.

각자 전체 컨테이너 물동량의 9.4%씩을 처리하는 광양항(7.0%↑)과 인천항(7.1%↑)은 나란히 250만TEU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화물 형태별로 살펴보면, 수출입은 엔저 효과 및 원-달러 환율 하락 등 부정적 여건 속에서도 세계경제의 완만한 회복세에 따라 지난해보다 4.2% 증가한 1,516만TEU를 처리 할 것으로 예상된다.

환적은 4대 해운동맹(얼라이언스) 체제 정착에 따라 지난해보다 7.3% 증가한 1,070만TEU 처리를 목표로 하였다. 글로벌 원양 선사의 부산항·광양항 추가 기항과 인천 신항의 개장, 항만배후단지 활성화 등을 통해 목표치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물동량 목표치 달성을 위하여 환적컨테이너에 대한 입출항료 면제정책을 유지할 계획이다. 또한 세계적인 선박 대형화 추세에 대응하기 위하여 항만별로 수로 증심(增深)과 대형크레인 교체 등 인프라 개선을 지속 추진하기로 하였다.

아울러 부산, 광양, 인천 등 3개 항만공사와 함께 글로벌 선사 동맹체별로 맞춤형 특화 마케팅을 전개하고, 항만배후단지에 우수한 화주·물류기업을 유치하기 위하여 일본·중국 등 전략지역과 함께 미주·유럽 등 잠재기업 발굴에도 적극 노력하기로 하였다.

이수호 해양수산부 항만물류기획과장은 “세계경기 회복세와 대내외 경제 전망을 고려하면 올해 수출입물량은 지난해 증가세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한다.”라며, “적극적인 환적 컨테이너 유치와 항만배후단지 활성화로 목표물동량 달성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 해양수산부 항만물류기획과 044-200-5750, 5753, 5754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