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부, 수산기자재산업 실태조사에 나서 해수부, 수산기자재산업 실태조사에 나서
이명규 2015-03-11 18:40:32

 

해수부, 수산기자재산업 실태조사에 나서

 

- 실태조사를 통해 제도개선 등 수산기자재산업 육성방안 마련키로

 

정부가 수산기자재산업에 대한 체계적·종합적 지원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본격적인 채비에 나섰다.

해양수산부는 3월 12일 국내 수산관련 기자재 산업 현황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와 이를 통한 수산기자재산업 육성방안 마련을 위해 수산기자재산업 실태조사 연구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수산기자재산업은 수산업 생산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는 기반산업으로, 기계·전자·정보통신 등 타 산업과의 융·복합을 통해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산물 수요 증가와 더불어 국내외 시장이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 먹거리 산업이다.

또한, 수산물 생산에 있어 환경·안전에 대한 규제 강화, 기후변화로 인한 생산 불확실성 확대, 어업인구 감소 및 고령화 등으로 기존의 생산방식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기계화·자동화·무인화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어 성장 잠재성이 큰 분야로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수산정책이 수산물 생산에만 집중되어 수산기자재산업은 정부지원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었다. 최근에는 선진국에 비해 낮은 기술력과 중국과의 가격경쟁력에서 밀려나면서 많은 수산기자재 업체가 문을 닫는 등 국내 수산기자재산업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아직까지 수산기자재 및 관련 산업에 대해 명확한 범위나 개념조차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그동안 수산기자재에 대한 지원도 양식기자재 임대나 일부 기자재 개발 사업 등에 한정되어 있고, 이마저도 정확한 실태가 바탕이 되지 못하여 현장의 애로사항을 해결하는 수준에 그치는 등 정책지원에는 한계가 있어 왔다.


해수부는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수산기자재 및 관련 산업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하고, 수산기자재 관련 산업체 및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주요 기자재 현황 등을 조사할 예정이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실효성 있는 수산기자재산업 육성방안을 도출한다는 계획이다.

양근석 해양수산부 소득복지과장은 “수산기자재산업을 수산업의 전후방산업이 아닌 동반산업으로 인식하고 고효율·고성능 자재개발을 통해 수산업의 선진 기술창고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번 실태조사를 통해 현황을 체계적으로 조사할 계획”이라며,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그동안 소외되어 있던 기자재분야를 수산정책의 주요 분야로 육성해 나가겠다.”라고 밝혔다.

 

■ 해양수산부 소득복지과 044-200-5440, 5447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