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1차 남극조사대원 귀국 신규 정박지의 개발 및 이에 대한 지질 조사 수행
이명규 2015-04-27 13:58:07

 캡처.JPG

<사진. 한중해양과학공동연구센터 사진자료
출처. 한중해양과학공동연구센터>


제31차 남극조사대원 귀국


2015년 4월 10일 오전, 중국 제31차 남극조사대원들은 163일간의 조사업무를 마치고 상해의 극지조사 국내기지에 도착하였다.
 
이번 조사는 기존의 남극조사와는 달리 다음 5가지 분야에서 특색이 있다고 한다.
 

신규 정박지의 개발 및 이에 대한 지질 조사 수행
 
지난 12월 26일부터 10일간, 조사대원들은 새로 개발된 빅토리아 정박지에 대해 지질조사, 난언도(難言島) 주변해역 수중지형 관측과 지도 작성, 난언도 환경조사, 난언도 부두건설을 위한 조사, 난언도 기초 관측과 지도 작성을 위한 관측대 설치, GNSS 기준점의 지속 운영과 관측 등을 포함한 전반적 조사를 수행하였다.
 

극지 앵커시스템 회수에 관한 새 기록
 
남대양에 대한 이번 조사는 “남·북극 환경 종합 조사와 평가” 특별사업의 일환으로 로스해와 퓰리처만(Pulitzer bay)에서 실시되었다. 그중, 조사대원들은 로스해에서 해양지질과 지구물리 조사, 퓰리처만에서 물리해양, 해양화학과 생물, 생물자원 등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특히 수중 부이 3세트와 해저 지진 장비 5대를 성공적으로 회수하여 극지 해양 앵커시스템 회수의 기록을 갱신하였다.
 

우수한 내륙조사 성과 도출
 
남극기지인 곤륜기지와 태산기지의 조사대원들은 지난 12월 15일 중산기지에서 출발하였으며 55일간 조사업무를 마치고 지난 2월 7일 중산기지에 복귀하였다. 이번 조사에서, 차량 10대, 썰매 42개 및 물자 총 420톤을 투입하여 역대 남극내륙조사 중 가장 많은 참여 조사대원과 차량 수를 지원하였다.
 
또한, 이번 조사에서 172m 크기의 아이스코어를 성공적으로 시추하였으며 남극 순천 망원경 “AST3-2” 1대를 추가적으로 설치하였다. 또한, 곤륜기지의 건설공사를 마무리하였고 시범 운영을 시작하였으며 태산기지의 하계운영을 시작하였다.
 

쇄빙선 “설룡호”의 새로운 항행기록
 
쇄빙선 “설룡호”는 해빙해역에서 2,526시간동안 3,210해리를 항행하였으며 총 4차례에 거쳐 편서풍지역을 항행하였다. 2014년 12월 30일, “설룡호”는 위성관측이 가능할때부터 가장 심한 해빙재해를 극복하여 계획대로 맥머도만에 위치한 로스섬(165°34′E,  77°35′N) 부근해역에 도착해 중국의 항행기록을 갱신하였다. 따라서, “설룡호”는 지구의 최 남쪽 위도에 도착한 중국 유일한 선박인 것이다.
 

국제협력의 확대와 강화
이번 조사시, 아래와 같은 국제협력 업무를 수행한 바 있다.
 
첫째, 헬리콥터 “Ka-32”를 활용해 48통의 뉴질랜드 연료를 목적지에 운송하였다.
 
둘째, “설룡호”를 활용해 뉴질랜드, 한국 및 이탈리아 등 나라의 25명 조사대원을 뉴질랜드의 크라이스트처치에 이송하였으며 그 도중 “설룡호”에서 남극문제에 관한 국제워크숍도 개최하였다.
 
셋째, “설룡호”를 활용한 해빙조사 수행시, 태국에서 온 조사대원 1명을 참여시켰다.
 
넷째, 쇄빙선 “설룡호”는 호주 데이비스 관측소에서 북 프린스챨스산맥 조사 시료를 운반하였다.
 
다섯째, 중국의 조사대원을 호주 케이스관측소 항공운영 교육프로그램 및 남동극 항공네트워크 운영조사에 참여시켰다.
 
여섯째, 장성기지에서 남극의 수중 생태계 환경변화와 보전조사 및 해빙지역 다이빙자료 수집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태만 조사대원을 지원하였다.
 

한편, 중국과 칠레 조사대원은 남서극 사우스셰틀랜드제도에서 야외지질조사를 공동으로 수행하였으며 사우스셰틀랜드제도의 지질특성과 일부 무기물화특성을 파악하였고 희귀 야외 암석 시료를 확보하였다. 이는 남극반도 화산암군의 시대와 변화과정 연구를 수행할 수 있는 기초를 마련하였다. 또한, 이번 조사성과를 바탕으로 사우스셰틀랜드제도에 관한 1:250,000 지질도를 제작할 계획이며, 현재 본 지역 대(大) 축적 지질도가 없으므로 이는 남극반도 변화과정 연구의 새로운 역사를 다시 쓸 것으로 전망된다.


■ 한중해양과학공동연구센터 www.ckjorc.org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