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미국의 신발 수입 국가별 비중 및 연간 증가율>
출처.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베트남産 신발, 미국 내 중국 시장점유율 잠식
미국 내 신발 소비시장에서 차지하는 중국산 제품의 비중이 줄고, 베트남산 제품의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2014년 1~11월 미국의 중국산 신발 수입액은 2013년 동기 대비 5,000만 달러 감소한 반면, 베트남산 수입액은 4,000만 달러가 늘었음. 미 상무부(U.S. Department of Commerce)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미국의 신발수입액은 17억 6,700만 달러이며, 베트남으로부터 수입된 신발은 2억 4,900만 달러로 전체 수입액의 14.5%를 차지했음.
미국의 중국산 수입신발의 비중은 과거 최고 95%까지 증가했으나 최근 70% 대로 감소함.
미국 신발물류소매(FDRA; Footwear Distributors and Retailers of America) Matt Priest 회장은 이 같이 중국산 제품의 시장점유율이 감소한 것은 최저임금을 두 배 상승시키겠다는 중국의 5개년 계획, 그리고 내륙지역 육성계획에 따라 생산 공장이 이전함으로써 상당한 영향을 받았다고 지적했음.
이 같은 점은 Wolverine Worldwide의 글로벌 영업담당 사장인 Mike Jeppersen도 지적했는데, 중국의 주강(Pearl River, 珠江, Zhu Jiang) 지역에 주로 위치하고 있는 생산 공장들이 생산비 상승으로 중국 내륙지역으로의 이전이 가속화되고 있음.
중국 내 공장 이전에 따른 운송 시간과 비용이 증가하여 전체 공급사슬이 연장되는 구조를 보이고 있으며, 중국 연해지방을 중심으로 발전해왔던 생산 및 물류의 효율성이 감소하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음.
Joc Group의 경제학자 Mario Moreno씨는 이 같은 영향으로 베트남 및 인도네시아 등지보다 저렴한 상품의 수출이 중국보다 늘 것으로 예상함.
Priest 회장은 이 같은 변화에도 불구하고 생산비 압박과 수익성 하락 등의 요인으로 바로 생산 공장의 이전을 추진할 수 있는 회사는 흔치 않다고 말하고, 더욱이 내륙 또는 타국으로 공장을 이전한 회사는 초기에 원자재 조달 문제에 직면하므로 생산 공장은 원자재 공급사들과 인접한 지역을 선호할 수 있다고 언급했음.
이 같은 이유로 생산 공장의 이전은 모든 공급사슬상의 구조, 즉 조달, 생산 및 소비가 유기적으로 연계되는 지역으로 점진적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지적했음.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www.kmi.re.kr(국제물류위클리 293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