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간대 퇴적물 조사 실시
최근, 중국 과학기술부는 “중국 대표적 조간대 퇴적물 배경과 현황 조사 및 사진집 제작” 사업의 수행을 승인하였다. 사업 수행기관은 중국과학원 연태(煙台)연안역 연구소이다.
조간대는 육지와 바다의 상호작용이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구역이며, 중요한 생태적, 경제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조간대에서 형성된 퇴적물은 생물의 서식지, 육지와 바다 간의 물질교환 장소 및 오염물질의 수용과 자정 장소이며, 연안역, 생태 및 식품 안전에 영향을 미친다.
최근 들어, 연안해역 해양양식, 바다매립 및 육지기인 오염물질의 바다 배출로 조간대 퇴적물은 날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대표적 조간대 퇴적물의 물리와 화학 특성, 환경지구화학 특성 및 생물군 특성에 대한 기초 조사작업이 아직 수행되지 않아 퇴적물의 배경 및 대표적 조간대 퇴적물의 현황과 분포에 관한 자료가 없다. 이런 현실속에서 조간대 퇴적물의 배경 및 현황 조사가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중국과학원 연태연안역연구소는 조간대 퇴적물의 종류, 특성 및 분포에 따라 요녕(遼寧)성의 쌍태자(雙台子) 하구, 하북(河北)성의 북대하(北戴河) 하구, 천진(天津)시의 당고(塘沽), 산동(山東)성의 황하 하구, 상하이(양자강 하구) 숭명동탄(崇明東灘), 광동(廣東)성의 주강(珠江) 하구 및 해남(海南)성의 동채(東寨)항을 비롯한 14개 대표적 조간대를 선정하여 퇴적물 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조간대 퇴적물 배경과 현황 조사를 통해 중국 대표적 조간대의 자연환경 특성과 인간의 행위가 조간대에 미친 영향 연구를 위한 기초 자료 및 조간대 생태환경 보전과 생물자원의 지속가능 이용을 위한 과학적 근거를 제공한다.
■ 한중해양과학공동연구센터 www.ckjorc.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