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환경변동 관측위성을 NOAA에서 이용: 허리케인, 태풍의 눈 등을 예측 수환경변동 관측위성을 NOAA에서 이용: 허리케인, 태풍의 눈 등을 예측
이명규 2014-09-26 09:04:04

 캡처.JPG

<사진. 2014년 7월 3일 허리케인 어써: 정지위성 적외 관측
출처.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수환경변동 관측위성을 NOAA에서 이용: 허리케인, 태풍의 눈 등을 예측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JAXA, Japan Aerospace Exploration Agency )가 2012년 5월에 발사한 수환경변동 관측위성 “시즈쿠(GCOM-W, Global Change Observation Mission-Water )"에 탑재된 고성능 마이크로파 방사계2(AMSR2, 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eter 2)의 관측 데이터에 대해 이번에 미국해양대기관리처(NOAA)에 의해 본격적으로 이용이 개시되었다. 이 관측 데이터는 2013년 2월부터 NOAA에 제공되어 NOAA에 의해 전 지구 및 미국 주변의 육지, 해양, 대기의 감시 등 기상예보를 위한 준비가 추진되었다. 이것에 의해 지구 표면에서 방출되는 미약한 마이크로파를 구름의 영향을 받지 않고 관측할 수 있어 허리케인 및 태풍의 눈 등 내부구조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그 강도 및 진로 예측 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AMSR2의 관측데이터는 작년 9월부터 기상청의 수치예보시스템에 입력되어 강수예측정밀도의 향상을 위하여 이용되고 있으나, 이것과 함께 NOAA에서도 정상적인 기상예보를 위해 이용되기 시작하였다. NOAA에서는 JAXA가 개발한 “시즈쿠” 탑재 AMSR2 및 이번 해 2월에 시작되는 전 지구강수관측계획(GPM, Global Precipitation Measurement) 주위성 탑재 이주파 강수레이더(DPR)의 데이터 활용이 검토되고 있으며, JAXA와 NOAA는 협력에 대하여 서로 협의를 추진하고 있다. 이번 AMSR2의 데이터가 미국에서 정상적으로 기상예보에 이용되게 되었다. 또한 NOAA는 JAXA와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공동으로 개발한 GPM에 탑재된 DPR(Dual-frequency Precipitation Radar)에 대해서도 미국 부근의 열대저기압의 예측향상을 위하여 이용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AMSR2는 지구표면에서 방출된 미약한 마이크로파를 구름의 영향을 받지 않고 관측할 수 있으며, 또한 GPM에 탑재된 강수레이더는 비와 눈의 상황을 3차원으로 관측할 수 있으므로 정지기상위성 등에 탑재되어 있는 가시, 적외관측기기에 비하여 허리케인과 태풍의 눈 등의 내부 구조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때문에 보다 정확한 허리케인과 태풍의 강도 및 진로를 예측할 수 있다.

NOAA는 AMSR2 데이터의 유효성을 작년 발생한 허리케인과 태풍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NOAA에 소속된 국립허리케인센터는 6월 1일부터 AMSR2 관측데이터의 정상적인 이용을 시작하였으며, 이미 복수의 허리케인 진로 예측의 개선 등에 효과를 발휘하고 있다. 또한 NOAA는 관측데이터를 하루 빨리 이용하기 위하여 7월 29일에 위스콘신주 및 캘리포니아주의 NOAA 데이터 수신국에서 직접 수신을 시작하였다. 이곳에서 직접 수신을 시작함으로써 NOAA는 수신국 주변의 관측데이터를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되었다.

NOAA의 공동극궤도위성시스템(JPSS, Joint Polar Satellite System) 칩프로그램사이언티스트의 미치 골든버그 박사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AMSR2 데이터는 기상 각 분야 중에서도 허리케인과 태풍의 강도 평가에 이용되고 있다. AMSR2의 관측데이터를 미국 내에서 직접 수신할 수 있도록 하면 지금까지 2시간에 걸친 관측데이터 입수까지의 시간이 수분 걸리며, 생명과 재산을 위협하는 극단 기상현상의 예보를 수행하는데 있어 NOAA에게는 큰 성과이다.”

NOAA는 추가로 다른 주에의 직접 수신 계획도 있으며, 전미 및 북태평양을 커버하는 영역의 허리케인 및 태풍의 감시에 이용하고 있다. 또한 JAXA에서는 기상청으로의 AMSR2관측데이터를 정상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기상청에서도 AMSR2 관측 데이터는 매일 매일 기상예보와 태풍해석 등에 이미 이용되고 있다.


■  KISTI 미리안 『글로벌동향브리핑』 http://mirian.kisti.re.kr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