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Fi Electronics, 아날로그의 정점에서 아날로그의 출구까지, 최고의 아날로그 음반 MFSL이 만들어내는 최고의 아날로그 경험
한은혜 2018-07-02 18:58:42

글 성연진

 


모바일 피델리티 사운드 랩(Mobile Fidelity Sound Lab, MFSL). 오디오파일이거나 고음질 음반 수집가라면 한 번쯤 들어봤을 이름이다. 미국의 오디오파일 전문 음반 제작사인 모바일 피델리티 사운드 랩은 국내에는 정식 수입된 적은 없지만, 워낙 유명한 하이엔드적인 아날로그 음반 제작 기술로 세계적인 유명세를 얻은 업체이다. 갑자기 하드웨어 소개란에 소프트웨어인 음반 업체의 이름을 언급한 이유는 이 아날로그 음반의 끝판왕으로 불리우는 업체가 아예 아날로그 턴테이블까지 내놓았기 때문이다. 궁극의 퓨어 아날로그 음반 업체가 그 음반의 진가를 보여주기 위하여 자신들의 명예를 걸고 턴테이블을 내놓았다. 도대체 어떤 엄청난 특별함이 있는 것일까? 오늘의 주제는 모바일 피델리티 사운드 랩의 하드웨어 사업부인 모파이 일렉트로닉스(MoFi Electronics)의 스토리이다.

 


 부도와 회생 

1999년 11월, MFSL의 음반 배급을 맡고 있던 중간 유통상이 부도가 처리가 되면서 MFSL은 커다란 위기를 겪게 된다. 생산된 모든 음반은 유통상이 가져갔지만 한 푼도 받지 못하게 된 것이다. 한정 라이선스, 한정 생산으로 버티는 작은 스튜디오에게는 청천벽력 같은 일이었고, 결국 MFSL은 문을 닫게 되었다.
 


2001년, 부도 처리된 MFSL은 그대로 사라지는 듯했으나, 시카고의 오디오 유통 업체인 뮤직 다이렉트(Music Direct)를 보유한 사업가, 짐 데이비스(Jim Davis)가 MFSL의 모든 자산과 브랜드를 인수했다. 그리고 MFSL을 자신의 회사인 뮤직 다이렉트 소속으로 끌어들였고, MFSL이 보유한 모든 리마스터링 기술과 게인 시스템, 그리고 그들이 발매했던 음반들에 대한 지적 재산권이 모두 함께 이전되었다. 모든 재정적 문제를 정리한 뒤, MFSL은 다시 문을 열게 되었고, 사운드 엔지니어들은 다시 합류하여 MFSL의 철학에 맞춰 본래의 모습대로 음반을 리마스터링하게 된다.

 

 


 아날로그의 부흥, 그리고 모파이 일렉트로닉스의 탄생

2007년부터 불어닥친 아날로그 부활 덕분에 MFSL의 매출은 과거에 비해 5배나 매출이 높아지는 호황을 누리게 되었다. 젊은 층들이 음반을 구입하여 자연스럽게 MFSL이라는 레이블의 가치가 시장에서 알려지게 되었고 ‘마니아들이 찾는 음반, 고음질 리마스터링 음반’이라는 명성으로 점차 MFSL은 음반 시장과 음악 시장에서 고음질의 대명사로 각인되기 시작했다. 높아진 MFSL의 브랜드 가치와 음반 매출의 증가는 자연스럽게 턴테이블의 매출로 이어졌다. 신규 아날로그 고객들이 늘기 시작하면서, 보급형 턴테이블부터 중급 턴테이블까지 대중적인 아날로그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아날로그 수요는 다시 고음질 턴테이블에 대한 요구를 강하게 만들었다. MFSL의 모회사가 되는 뮤직 다이렉트는 누구보다도 빨리 이러한 반응을 알아챘다. 자사의 턴테이블 매출 상승과 함께 고객의 문의가 많은 상품군이라는 것이 현장의 보고서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중·저가 턴테이블이 즐비하게 나와 있었지만, 정작 MFSL의 음반이 지닌 고음질을 제대로 소화해줄 만한 턴테이블은 이 가격대의 제품들 중에는 딱히 추천할 만한 제품이 없었다. 이를 몇 년 동안 지켜본 사람이 뮤직 다이렉트의 부사장, 조쉬 비자(Josh Bizar)였다. 그는 이러한 시장 상황을 정리하여 대표인 짐 데이비스에게 보고하며, MFSL의 이름으로 된 턴테이블과 카트리지, 그리고 포노 앰프까지, 하나로 된 아날로그 재생 시스템을 내놓는 아이디어를 제안했고, 그렇게 시작된 아이디어는 곧바로 제품 기획 및 개발로 이어졌다.
 

 


2014년 2월, 뮤직 다이렉트와 MFSL은 제품 개발을 시작하며 새로운 회사를 설립했다. 바로 모파이 일렉트로닉스가 그것이다. 모든 기획과 개발은 MFSL과 뮤직 다이렉트의 대표인 짐 데이비스 아래에서 진행되었지만, 이들은 새로운 턴테이블과 포노 프리앰프, 그리고 카트리지 등의 하드웨어를 MFSL의 이름으로 내놓는 것은 아니라고 판단했다. MFSL은 하드웨어 제조사가 아니라 순수한 리마스터링 스튜디오였고, 이미 잘 알려진 브랜드 가치가 그렇게 설정되어 있었다. 오히려 MFSL의 이름으로 제품을 내놓는 것은 MFSL의 명성을 해칠 수도 있었고, 하드웨어는 사실상 별개의 사업이었기 때문이다. 모든 기획, 개발, 튜닝은 MFSL이 참여하지만 실제 제작과 생산, 유통을 위해 별도의 조직이 필요했고, 이를 위해 모파이 일렉트로닉스라는 이름의 회사를 설립한 것이다.
 


 MFSL의 철학을 아는 전문 엔지니어의 영입

짐 데이비스는 이를 위해 새로운 회사 운영팀을 구축했다. 와디아 디지털의 대표였던 존 스캐퍼를 사장으로 영입하여 새로운 회사의 구조와 영업 네트워크를 만들도록 했고, 제품의 기획과 개발은 MFSL의 엔지니어들과 협의하여 전문 엔지니어들을 찾아냈다. 이미 짐 데이비스가 인수한 회사 중에는 B.A.T.(Balanced Audio Technology)가 있다. 사실, 하드웨어 제조에는 B.A.T.가 가장 적합한 회사였고 B.A.T.의 포노 앰프는 이미 아날로그 시장에서 정평이 난 제품이기도 했다. 하지만 이들의 생각은 전혀 달랐다. 모파이 일렉트로닉스는 어디까지나 MFSL의 작품이기 때문에 MFSL의 철학에 부합하는 엔지니어가 제품 개발을 맡아야 한다는 것이 출발점이었다. 그렇게 하여 B.A.T.는 처음부터 이 프로젝트에서 배제시켰다. 그리고 수차례에 걸친 토론 끝에 두 명의 엔지니어를 섭외하게 되는데, 바로 EAR의 팀 드 파라비치니와 소타, 스파이럴 그루브의 알렌 퍼킨스가 그 주인공이었다.
 

 


MFSL의 모든 리마스터링 시스템을 도맡아 개발한 사람이 바로 팀 드 파라비치니이다. 그는 자신의 하이파이 회사인 EAR(Esoteric Audio Research)을 운영 중이기도 하지만, 오늘날까지 MFSL의 모든 리마스터링 장비를 직접 관리, 유지 보수 및 개발하고 있는 가족과도 같은 엔지니어였다. MFSL의 음반 마스터를 만들어내는 커팅 헤드도 그의 작품이다. 또한 가장 현대적이면서도 고음질의 하이엔드 턴테이블을 만들 수 있는 적임자 중 한 명으로 꼽을 수 있는 사람이 알렌 퍼킨스다. 과거 소타를 비롯하여 최근작인 스파이럴 그루브에 이르기까지, 그가 만든 턴테이블은 항상 최고의 평가를 받아왔다. 이 두 사람이 최고의 아날로그 재생 시스템 개발에 합류하는 것은 MFSL의 철학을 제품으로 만들어낼 수 있는 최적의 카드였고, 성공의 출발점이었다.
 


그렇게 하여 2014년부터 모파이 일렉트로닉스의 하드웨어 개발이 시작되었다. 이 프로젝트가 일반 제품 개발과 다른 점은 MFSL의 기술과 음질을 재현해내는 것이 모토였기 때문이다. 당연히 MFSL의 철학을 몸소 익히고 있던 파라비치니는 신제품 개발에 큰 역할을 했고, 함께 작업에 들어온 알렌 퍼킨스도 그러한 방향에 맞춰 턴테이블 개발을 진행했다. 그렇게 만들어진 프로토타입의 제품은 MFSL의 엔지니어들에게 보내졌다. 리마스터링 엔지니어들은 자신들이 찍어낸 LP들을 모파이의 턴테이블과 포노 프리앰프, 카트리지로 들어보며 본래 마스터의 사운드에 근접하는지, 리마스터링 중에 살리고자 했던 음들이 제대로 재생되는지를 면밀히 검토하여 결과를 리포팅 해주었다. 그에 맞춰 기기의 설계에 변경이 이루어졌고, 기기의 보완을 위해 물리적 구조를 바꾸고 진동을 억제하는 작업도 끊임없이 시도되었다. 그 과정에서 함께하게 된 것이 HRS의 마이크 라트비스였다. 하이파이 마니아라면 익히 HRS(Harmonic Resolution Systems)라는 브랜드를 들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HRS는 오디오랙부터 시작하여 오디오 기기의 진동을 억제하거나 외부로 방출·소멸시켜 주는 각종 오디오 기기 진동 관련 액세서리를 만드는 전문 업체이다. 결국 이렇게 3개 회사의 엔지니어들이 참여하여 일련의 모파이 제품들이 탄생하게 된 것이다.
 


 


 가격적인 한계의 극복

MFSL과 기획 초기의 목표는 궁극의 하이엔드 시스템 개발이 아니었다. 일반인들이 제대로 아날로그의 음질을 즐길 수 있는 뛰어난 성능의 범용 아날로그 시스템의 개발이었다. 따라서, 기기에 정해진 예산은 처음부터 높지 않았고, 엔지니어들은 이 한계 속에서 가장 뛰어난 성능의 턴테이블과 포노 프리앰프, 그리고 카트리지를 개발해내야 했다. 가격은 저렴했지만, 하이엔드에 능한 사람들이 모여 작업을 했고, 심지어 액세서리 전문 업체까지 투입하여 기기의 마지막 튜닝까지 다루어야 했다. 이 때문에 예상했던 기간보다 훨씬 개발 기간이 길어졌다. 가격과 성능의 타협점을 찾기 위해 훨씬 많은 소재와 회로가 테스트되어야 했기 때문이다. 게다가 모든 설계의 출발은 MFSL의 음질에 부합하는 성능을 이끌어내야 했기 때문에 MFSL의 음반 리마스터링에 사용된 기법도 기기 속에 녹여 넣어야 했다. 결국 2015년부터 곧 나올 것 같던 제품들이 실제 시장에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한 것은 2016년 말이었다. 당시 도쿄 오디오쇼에서 처음 하나의 제품군으로 턴테이블과 카트리지, 포노 프리앰프가 소개되었고, 실제 발매는 이듬해인 2017년 중반이 되어서야 생산에 들어갈 수 있었다. 하지만, 초기 생산 이후 몇 가지 시장에서의 요구와 개선점이 들어와, 다시 설계를 수정하고 시장의 요구 사항을 반영하여(예를 들어 더스트 커버 같은) 몇몇 액세서리들이 추가되어 2017년 말부터 완전한 제품들로 생산이 시작되었다.
 


하지만, 이처럼 많은 난제들과 예상보다 긴 개발 시간을 거쳤지만, 모파이 일렉트로닉스 제품들의 완성도는 가격 이상의 높은 성능과 만듦새, 가치를 갖추게 되었다. 예를 들어 모파이 일렉트로닉스의 카트리지를 보자. 모파이의 새로운 MM 카트리지에 대해 음질을 우선시했다면서 왜 MC가 아니냐고 반문하는 사람들이 있을 것이다. 하지만 MM 카트리지의 설계는 사용자 편의성과 가격, 성능을 고려하여 긴 시간 동안 테스트한 최적의 결과물이다. 게다가 이 MM 카트리지는 단순히 가격을 저렴하게 맞추고 저렴한 턴테이블로 쓰기 위해 만든 것이 아니다. 이 카트리지들은 MFSL에서 현재 LP 제작용 커터 헤드에 사용되는 것과 똑같은 구조의 바늘과 모터 시스템으로 만들어졌으며, 제작 정밀도를 위해 최종 조립만 일본에서 별도로 진행하여 완성하는 고급 카트리지이다. 포노 프리앰프 또한 MFSL의 게인 시스템에 사용되는 회로와 유사한 성향을 갖춘 회로로 완성이 되었다. 가격은 MFSL이 생각하는 아날로그의 대중화의 기준일 뿐, 제품의 성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즉, 모파이 일렉트로닉스의 가성비와 가치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을 훌쩍 뛰어넘는 고도의 전문적인 아날로그 플레이백 시스템인 셈이다.

 


 정리

모파이 일렉트로닉스는 단순히 MFSL의 음반이 지닌 명성에 묻어가는 이벤트성 아날로그 기기가 절대 아니다. 지난 수십 년 동안 쌓아온 MFSL의 고음질 아날로그 제작 기술을 바탕으로 기획, 설계, 그리고 튜닝된 결과물이다. 세계 최고의 아날로그 전문가들이 머리카락을 쥐어짜며 MFSL의 기술과 노하우를 함께 녹여 놓은 최고 수준의 아날로그 재생 시스템으로, 합리적인 가격으로도 MFSL의 고음질을 즐길 수 있는 최고의 아날로그 솔루션이다. 이제 막 아날로그를 시작했거나, 아날로그에 도전하려는 이들에게는 최고의 입문기로 추천할 수 있는 제품들이며, 가성비 좋은 아날로그 기기를 찾는 마니아들에게도 도전의식을 불러 일으키는 또 하나의 머스트 해브 아이템이다.

국내에서도 곧 모파이 일렉트로닉스의 제품들을 볼 수 있을 예정이다. 다인오디오를 수입하는 태인기기에서 정식 수입 계약을 맺고 발매를 준비하고 있다. 이미 테스트용이자 1차 물량이 지난 4월에 반입되어 일부 매장에 전시되기 시작했고, 올 여름부터 본격적인 판매가 진행될 예정이다. 제품에 대한 소개는 추후 제품 리뷰와 함께 다시 소개하기로 한다. 모파이 일렉트로닉스와 함께 아날로그의 붐을 기대해본다.

수입원_ 태인기기 (02)971-8241

 

<월간 오디오 2018년 7월 호>

디지털여기에 news@yeogie.com <저작권자 @ 여기에. 무단전재 - 재배포금지>